멜리나 메르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리나 메르쿠리는 그리스 출신의 배우이자 정치인이다. 1945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스텔라》, 《일요일은 참으세요》 등에 출연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일요일은 참으세요》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67년 그리스 군사 독재 정권에 반대하여 시민권을 박탈당하고 망명 생활을 했으며, 이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다. 문화부 장관 재임 시 엘긴 대리석 반환 운동을 주도하고, 유럽 문화 수도 제도를 창설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1994년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유네스코는 그녀를 기려 문화 경관 보호 및 관리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 '멜리나 메르쿠리 국제상'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민주주의 운동가 - 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
그리스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인 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는 람브라키스 암살 사건 수사로 명성을 얻고 군사 정권 시절 탄압을 받았으나, 민주화 후 대법원 판사를 거쳐 1985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스 대통령을 역임했다. - 엘긴 대리석 조각군 - 안토니오 카노바
안토니오 카노바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조각가로, 로마에서 미켈란젤로의 영향을 받아 활동하며 《키스로 깨어나는 프시케》,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스》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나폴레옹의 후원을 받으며 유럽 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엘긴 대리석 조각군 - 그리스 항아리에 대한 송시
존 키츠의 "그리스 항아리에 대한 송시"는 고대 그리스 항아리를 보며 예술의 영원성, 아름다움과 진실의 관계를 탐구하는 시로, 엑프라시스 기법을 통해 항아리 속 장면을 묘사하며 "아름다움은 진실, 진실은 아름다움"이라는 구절로 많은 해석을 낳았다.
멜리나 메르쿠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리아 아말리아 메르쿠리 |
출생일 | 1920년 10월 18일 |
출생지 | 아테네, 그리스 |
사망일 | 1994년 3월 6일 |
사망지 | 어퍼이스트사이드, 뉴욕, 미국 |
안장지 | 아테네 제1 묘지 |
국적 | 그리스 |
직업 | 배우, 가수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PASOK |
국회의원 (제2 선거구) | 피레아스 B |
국회의원 (전국구) | 전국구 |
문화부 장관 | 1981년 10월 21일 – 1989년 7월 2일 |
문화부 장관 | 1993년 10월 13일 – 1994년 3월 6일 |
개인사 | |
배우자 | 파노스 하로코포스 (1941년-1962년, 이혼) 쥘 다신 (1966년) |
부모 | 스타마티스 메르쿠리스 이리니 라파 |
학력 | 그리스 국립극장 드라마 학교 |
수상 | |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 1960년 《일요일은 참으세요》 |
기타 정보 | |
활동 기간 | 1945년–1977년 |
로마자 표기 | Melína Merkoúri |
2. 생애
그리스 아테네의 명문 정치가 가문에서 태어나 그리스 국립극장에서 연극 배우로 데뷔했다. 1955년 영화 《스텔라》로 영화계에 발을 들였고, 이후 칸 영화제에서 미국의 영화 감독 줄스 다신을 만나 인연을 맺었다. 1960년에는 줄스 다신이 감독한 영화 《일요일은 참으세요》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배우로 발돋움했다.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그리스인 조르바》(1964)에도 출연하여 명성을 더했다. 1964년에는 줄스 다신과 재혼했다.
1967년 그리스에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가 이끄는 군사 독재 정권이 들어서자, 이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활동을 펼쳤다. 이로 인해 그리스 시민권을 박탈당하고 재산을 몰수당했으며, 1974년 그리스 민주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미국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망명 기간에도 배우와 가수로 활동하며 군사 정권의 부당함을 알리는 데 힘썼다.
군사 정권이 무너진 후 그리스로 돌아와 진보 정당인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에 참여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의 제안으로 1981년부터 1989년까지, 그리고 1993년부터 사망 시까지 두 차례에 걸쳐 문화부 장관을 역임하며 그리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1994년 미국 뉴욕에서 지병인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아테네의 그리스 제1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가족 배경 및 초기 생애
멜리나 메르쿠리는 1920년 10월 18일 그리스 아테네의 명문 정치가 가문인 메르쿠리 가의 딸로 태어났다.[5] 메르쿠리 가문은 아르골리스에서 온 아르바니테 가문으로 아테네에 정착했으며, 가문의 구성원들은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5]할아버지인 스피리돈 메르쿠리스는 수년간 아테네 시장을 역임했다.[5] 아버지 스타마티스 메르쿠리스는 기병 장교 출신으로, 국회의원 및 장관(인민당, 국가 급진당)을 지냈으며, 수년간 파나티나이코스 팀 운영에도 참여했다.[5]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스타마티스 메르쿠리스는 1942년 1월 저항 단체인 '리조스파스티키 오르가노시스'(급진 조직)를 창설하기도 했다.
어머니 이레네 라파는 그리스 해군 참모총장, 올림픽 게임 위원회 사무총장, 파울 국왕의 군사 관저 책임자 등을 역임한 피로스 라파스 제독의 여동생이었다.[5] 삼촌인 조지 S. 메르쿠리스는 극우 정치인으로, 그리스 국가 사회주의 정당의 창립자였으며, 점령 기간 동안 국립 은행 총재를 지냈다.[5] 이러한 그의 행적에 메르쿠리 가문은 크게 분노하여 1943년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았다.[5]
2. 2. 연극 배우 데뷔 및 초기 활동
1938년 9월, 그리스 국립 극장의 연극학교에 입학하여 데스포 디아만티두, 알렉시스 다미아노스 등과 함께 공부했다. 졸업 후 그리스 국립 극장에 입단하여 1945년 유진 오닐의 희곡 《엘렉트라의 비탄》에서 엘렉트라 역을 맡으며 연극 배우로 데뷔했다. 1949년에는 카롤로스 쿤의 예술 극단에서 공연된 테네시 윌리엄스의 희곡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서 블랑쉬 드보아 역을 맡아 처음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1950년 이후 파리로 이주하여 자크 드발과 마르셀 아샤르의 연극에 출연했으며, 장 콕토, 장폴 사르트르, 코lette, 프랑수아즈 사강과 같은 프랑스 작가들과 교류했다. 1953년에는 그리스의 권위 있는 연극상인 마리카 코토풀리 상을 받았다. 1955년 그리스로 돌아와 코토풀리-렉스 극장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와 장 아누이의 《종달새》 등의 작품에 출연하며 활동을 이어갔다.[6]
2. 3. 영화 배우 활동 및 국제적 명성
1955년 그리스어 영화인 미카엘 카코야니스 감독의 《스텔라》를 통해 영화 배우로 데뷔했다. 이 영화는 1956년 칸 영화제에서 특별한 찬사를 받았으며, 이 영화제에서 메르쿠리는 훗날 남편이자 중요한 영화적 동반자가 되는 미국 출신 망명 영화 감독 줄스 다신을 만났다.줄스 다신과의 첫 번째 협업은 영화 《반드시 죽어야 할 자》(1957)였으며, 이후 《법》(1959) 등 여러 작품에서 함께 작업했다. 특히 다신이 감독하고 메르쿠리가 주연을 맡은 《일요일은 참으세요》(1960)는 그녀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 영화로 메르쿠리는 1960년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도 올랐다.[7]

이후에도 메르쿠리는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파이드라》(1962)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과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다시 올랐고, 《탑카피》(1964)에서의 연기로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또한,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동명 소설을 각색한 미카엘 카코야니스 감독의 영화 《그리스인 조르바》(1964)에도 출연하며 세계적인 인지도를 더욱 높였다.
메르쿠리는 줄스 다신 외에도 조지프 로지, 비토리오 데 시카, 로널드 님, 칼 포먼, 노먼 주이슨 등 여러 유명 감독들과 함께 작업했다. 스페인어 영화인 후안 안토니오 바르뎀 감독의 《더 언인히비티드》(1965)에도 출연하는 등 다양한 언어권의 영화에 참여했다.
1970년대에도 활동을 이어가 《약속의 아침》(1970)으로 다시 한번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 이후 몇 편의 영화에 더 출연했으며, 남편 줄스 다신이 연출한 《정열의 꿈》(1978)을 마지막으로 영화 연기에서는 은퇴했다. 이후에는 주로 무대 연기와 정치 활동에 집중했다.
2. 4. 결혼
1939년 겨울, 멜리나 메르쿠리는 자신보다 나이가 훨씬 많은 부유한 지주 파나기스 하로코포스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 결혼 후 그녀는 멜리나 하로코포우 또는 멜리나 차로코포우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940년대 후반에는 피로스 스피로밀리오스를 만나 7년 동안 교제했다. 그는 그리스 해군 장교이자 알바니아 전선의 영웅이었으며, 멜리나는 줄스 다신을 만나기 전까지 그를 생애 최고의 사랑으로 여겼다. 스피로밀리오스는 1961년 3월 비대 심근증으로 사망했다.
1955년, 첫 장편 영화인 《스텔라》가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을 때 미국의 영화 감독 줄스 다신을 만나 사랑에 빠졌다. 1962년에 첫 남편인 파노스 하로코포스와 이혼하였고, 1964년에 줄스 다신과 재혼하여 생을 마감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2. 5. 군사 정권 반대 운동과 망명 생활
1967년 4월 21일 그리스에서 그리스군 장성들의 쿠데타가 발생했을 당시, 멜리나 메르쿠리는 브로드웨이에서 연극 ''일리야 달링''에 출연하기 위해 미국에 있었다. 그녀는 즉시 그리스 군사 정권에 반대하는 투쟁에 참여하여 국제 사회에 군사 정권의 실상을 알리고, 정권을 고립시켜 몰락시키기 위한 국제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로, 독재 정권은 그녀의 그리스 국적을 박탈하고 재산을 몰수했다.[13]그리스 국적이 박탈되었을 때, 그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그리스인으로 태어났고 그리스인으로 죽을 것이다. 저 놈들은 파시스트로 태어났고 파시스트로 죽을 것이다.[14][15][16][17][18]
메르쿠리는 1973년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가 실각하고 1974년 그리스가 민주화될 때까지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이어갔다. 망명 기간 동안 그녀는 프랑스에서 배우와 가수로 활동하며 24곡에 달하는 샹송을 발표했고, 파파도풀로스 독재 정권의 실상을 알리는 활동을 꾸준히 전개했다. 또한 런던에서는 아말리아 플레밍, 헬렌 블라코스와 함께 카티메리니 신문을 통해 군사 정권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19]
2. 6. 정치 활동
1967년 그리스에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가 이끄는 군사 독재 정권이 들어서자, 이에 반대하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로 인해 그리스 시민권을 박탈당하고 미국으로 추방되어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망명 기간 동안 프랑스 등지에서 배우와 가수로 활동하면서도, 파파도풀로스 독재 정권의 실상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1974년 군사 정권이 무너지고 그리스에 민주주의가 회복되자(이를 변혁기라고도 부른다) 조국으로 돌아왔다. 귀국 후 중도좌파 성향의 정당인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으며, 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자 문화 섹션 보고관을 맡으며 여성 운동에도 힘썼다.[20]
1974년 그리스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피레아스 B 선거구에 PASOK 후보로 출마했으나, 7,500표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33표 차이로 아쉽게 낙선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풀뿌리 운동을 펼친 결과, 1977년 그리스 국회의원 선거에서 성공적으로 당선되어 헬레니즘 의회 의원이 되었다.[21]
1981년 PASOK의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의 제안으로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1989년까지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리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1989년 11월 총선에서 PASOK이 패배했지만, 메르쿠리는 그리스 의회 의원직을 유지하며 당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1990년에는 아테네 시장 선거에 도전했으나, 안토니스 트리치스에게 패했다.[27]
1993년 총선에서 PASOK이 다시 승리하자, 파판드레우 총리에 의해 문화부 장관으로 재임명되었다.[28] 두 번째 장관 임기 동안에는 에게해에 문화 공원을 조성하여 에게해 섬들의 환경과 문명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것, 그리고 모든 교육 수준에서 문화와 교육을 연결하고 교사 재교육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문화부 장관으로 재직하던 중 1994년 미국 뉴욕에서 지병인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녀의 시신은 그리스 아테네의 그리스 제1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 그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7년 유네스코는 문화 경관의 보호 및 관리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를 표창하는 문화 경관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멜리나 메르쿠리 국제상을 제정했다. 2003년에는 일본의 고가 종합공원이 이 상을 수상했다.
2. 7. 사망
1993년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에 의해 다시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재직하던 중, 1994년 3월 6일 미국 뉴욕시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에서 지병인 폐암으로 사망했다.[29]남편 줄스 다신이 유일한 직계 유족이었으며, 두 사람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 그리스 총리의 예우를 갖춘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으며, 사망 4일 후 아테네의 제1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 남편 줄스 다신에 의해 멜리나 메르쿠리 재단이 설립되었다. 또한 유네스코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세계 주요 문화 경관 보호 및 관리에 기여한 활동에 수여하는 '멜리나 메르쿠리 국제 문화 경관 보호 및 관리상'(유네스코-그리스)을 제정했다.[28][30]
3. 문화부 장관 재임 시 업적
1981년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이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메르쿠리는 그리스 역사상 최초의 여성 그리스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1989년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이 선거에서 패배하고 신민주당이 내각을 구성할 때까지 두 번의 임기를 역임했다.
문화부 장관으로서 메르쿠리는 배우로서의 국제적 명성을 활용하여 그리스 문화를 알리고 유럽 지도자들과 교류하는 데 힘썼다. 그녀의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는 대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파르테논 대리석의 반환 운동이었다. 이 대리석들은 19세기 초 토머스 브루스, 제7대 엘긴 백작에 의해 파르테논 신전과 아크로폴리스의 다른 건축물에서 반출된 것으로, 메르쿠리는 이 유물들이 마땅히 아테네로 돌아와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1983년에는 당시 대영 박물관 관장이었던 데이비드 M. 윌슨과 공개적인 텔레비전 토론을 벌였으며, 이는 대리석 반환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22] 또한 1986년 6월에는 옥스퍼드 유니언에서 파르테논 대리석의 그리스 반환 당위성을 역설하는 열정적인 연설을 통해, 이 유물들이 단순한 예술품을 넘어 그리스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 민주주의 정신의 상징임을 강조했다.[26] 그녀는 대리석 반환을 대비하여 이를 전시할 새 아크로폴리스 박물관 건립을 위한 국제 공모전을 추진했고, 이 박물관은 훗날 2009년에 완공되었다.[23]
메르쿠리의 또 다른 주요 업적은 유럽 연합 차원의 문화 교류 증진을 위한 유럽 문화 수도 제도를 창설한 것이다. 1983년 이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하여, 1985년 아테네가 최초의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는 결실을 보았다. 그녀는 또한 아테네의 1996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 노력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유럽 내 문화 협력 증진에도 기여했다. 1983년 그리스가 처음으로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국을 맡았을 때, 메르쿠리는 다른 EU 회원국 문화부 장관들을 자페이온에 초청하여 문화 문제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로마 조약에는 문화 관련 조항이 없었기에, 이 회의는 이후 EU 문화부 장관 정례 회의의 시초가 되었다. 1988년 그리스가 두 번째 의장국을 맡았을 때는 동유럽 국가들과 유럽 연합 간의 문화 협력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했으며, 이는 이후 동유럽 국가들에서 '문화의 달' 행사 개최로 이어졌다.[24]
국내적으로는 그리스 문화유산 보호와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힘썼다. 아테네의 고고학 유적지들을 통합하여 차량 통행이 없는 '고고학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연구하도록 했으며, 그리스 국민들이 박물관과 고고학 유적지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도록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그리스 문화유산과 현대 그리스 미술을 소개하는 전시회를 적극적으로 개최했으며, 역사적·건축적 가치가 있는 건물들의 복원 사업과 아테네 콘서트 홀 건립을 지원했다. 테살로니키에는 비잔틴 문화 박물관 설립을 지원하는 등 그리스 전역의 문화 기반 시설 확충에도 기여했다.[25]
4. 유산
카밀로 세스토의 노래 "멜리나"는 1975년 발매된 앨범 ''Amor libre''에 수록된 곡으로, 멜리나 메르쿠리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31][32]
2015년 10월 18일, 구글 두들은 그녀의 95번째 생일을 기념했다.[33]
5. 작품 목록
5. 1. 영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아카데미 주제가상 수상작
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
| 내레이터
| 목소리, 단편, (마지막 영화 출연)
|}
참조
[1]
웹사이트
1922
https://www.ancestry[...]
2022-05-04
[2]
웹사이트
I Edizione
https://www.premioeu[...]
2022-12-11
[3]
웹사이트
The Parhenon Marbles – Melina Mercouri Foundation
https://melinamercou[...]
2023-07-12
[4]
웹사이트
Melina Mercouri: Actor, politician and champion of culture (1920-1994)
https://european-uni[...]
2023-07-12
[5]
서적
Griechenland: Ein Länderporträt
Ch. Links Verlag
2012-01-01
[6]
서적
Thespis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Profile
http://www.bafta.org
2014-12-06
[8]
웹사이트
Melina Mercouri on "What's my line?"
https://www.youtube.[...]
2023-11-09
[9]
문서
52785
[10]
웹사이트
Europe Theatre Prize – I Edition – Prize winners and reasons
http://www.premio-eu[...]
2022-12-11
[11]
서적
Itinéraire intime
https://books.google[...]
Cherche Midi
2013-09-19
[12]
서적
Qui est qui en France
https://books.google[...]
J. Lafitte
[13]
서적
Newsweek
https://books.google[...]
Newsweek
2013-03-17
[14]
서적
Newsweek
https://books.google[...]
Newsweek, Incorporated
2013-03-17
[15]
서적
Books and Bookmen
https://books.google[...]
Hansom Books
2013-03-17
[16]
서적
Labor Today
https://books.google[...]
National Center for Trade Union Action and Democracy
2013-03-17
[17]
서적
Free Greek voices: a political anthology
https://books.google[...]
(10 Gayfere St., SWIP 3HN), Doric Publications Ltd.
2013-03-17
[18]
서적
Balkania
https://books.google[...]
Balkania Publishing Company
2013-03-17
[19]
뉴스
Obituary: Helen Vlachos
https://www.independ[...]
2013-03-15
[20]
서적
Problems of Communism
https://books.google[...]
Documentary Studies Section, International Information Administration
[21]
서적
Democracy at the Polls: A Comparative Study of Competitive National Elections
https://books.googl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22]
뉴스
How Mercouri tackled Britain in 1983 battle of the Marbles
https://www.thetimes[...]
[23]
웹사이트
"Grecian Grandeurs and the Rude Wasting of Old Time": Britain, the Elgin Marbles, and Post-Revolutionary Hellenism
http://ww2.jhu.edu/f[...]
2008-10-30
[24]
서적
The Cultural Politics of Europe: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and European Union since the 1980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07
[25]
서적
The Museums Journal
https://books.google[...]
Museums Association
[26]
웹사이트
The Parthenon Marbles, Melina's Speech to the Oxford Union
http://www.parthenon[...]
1997-02-09
[27]
서적
Europe
https://books.google[...]
Delegation of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8]
웹사이트
ΥΠΟΥΡΓΕΙΟ ΠΟΛΙΤΙΣΜΟΥ ΚΑΙ ΑΘΛΗΤΙΣΜΟΥ- Αρχική Σελίδα
https://www.culture.[...]
2023-01-03
[29]
뉴스
Melina Mercouri, Actress and Politician, Is Dead
https://www.nytimes.[...]
2023-01-03
[30]
웹사이트
Melina Mercouri Foundation
http://www.melinamer[...]
2023-01-03
[31]
웹사이트
¿Quién fue 'Melina'? La extraordinaria mujer que da título a la canción de Camilo Sesto
https://www.elconfid[...]
2019-09-11
[32]
웹사이트
¿Quién es Melina, la de la famosa canción de Camilo Sesto? Es una mujer. Y no es un tema de amor…
https://www.msn.com/[...]
[33]
웹사이트
Melina Mercouri's 95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15-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